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사, 사회

서울~부산 운임 인상 시기

by 맛돌이2 2025. 3. 26.
반응형

KTX 및 일반철도 운임 인상 추진! 철도 이용객에게 미치는 영향은?

최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고속철도인 KTX를 비롯한 간선철도의 운임 인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KTX 운임은 17%, ITX-새마을 등 일반 철도 운임은 10%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울~부산 일반실 운임이 기존 5만 9,800원에서 7만 원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철도 운임 인상 추진 배경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용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KTX 운임 인상의 이유와 그에 따른 변화,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철도 운임 인상 추진 배경

코레일은 철도 운영비 상승과 노후 KTX 차량 교체를 위한 투자 비용 증가로 인해 더 이상 운임 동결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2011년 12월 이후 무려 14년 동안 철도 운임이 동결된 반면, 운영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1. 물가 상승과 원가 부담 증가

지난 2011년과 비교해 보면, 다른 교통수단의 요금은 상당히 인상된 반면 철도 운임만이 동결된 상태였습니다.

  • 고속버스 요금: 21% 인상
  • 항공 요금: 23% 인상
  • 수도권 전철 요금: 56% 인상
  • 서울 시내버스 요금: 67% 인상
  • 택시 기본요금: 100% 인상
  • 소비자 물가지수: 27.1% 상승

 

같은 기간 동안 최저임금은 4,320원에서 9,960원으로 128.2% 인상되었으며, 전기 요금도 2,051억 원에서 5,796억 원으로 182.5% 증가하면서 코레일의 원가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2. 전기 요금 급등으로 인한 운영비 증가

코레일이 운영하는 철도 차량 대부분은 전기로 운행되므로 전기 요금 인상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 2021년 전기 요금: 3,687억 원
  • 2023년 전기 요금: 5,796억 원 (57.2% 증가)
  • 2024년 예상 전기 요금: 6,400억 원

3. 부채 증가와 이자 부담 확대

코레일의 누적 부채는 2023년 말 기준으로 약 21조 원에 달하며, 부채비율은 265%에 이릅니다. 부채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이자 비용만 무려 4,130억 원(하루 약 11억 3천만 원) 수준입니다.

4. KTX-1 노후화에 따른 교체 비용 증가

현재 KTX-1 열차는 총 86대 중 46대로 전체의 53.5%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입된 지 20년이 지나 노후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오는 2027년부터 발주가 시작되어 2033년까지 교체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를 위한 투자 비용은 약 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외부 연구기관에서는 정부 지원 없이 KTX-1 대체 차량을 도입하려면 운임을 최소 25% 인상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 철도 운임 인상 절차 및 향후 전망

철도 운임을 인상하려면 코레일이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의 협의 후 운임 상한을 지정·고시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후 코레일은 상한 범위 내에서 운임을 국토부에 신고하게 됩니다.

현재 국토부와 코레일은 운임 인상의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정부 협의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인상률과 시기가 조정될 예정입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14년간 조금씩 올려왔다면 국민의 충격이 덜했겠지만, 늦어질수록 한 번에 높은 인상률이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빠르게 인상이 진행되었으면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철도 운임 인상이 이용객에게 미치는 영향

철도 운임 인상이 확정될 경우, KTX를 자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서울~부산 KTX 일반실 기준으로 현행 59,800원에서 70,000원으로 인상될 경우, 약 10,000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주요 예상 변화

  • 출퇴근 및 출장이 잦은 승객들의 비용 증가: 직장인과 비즈니스 출장객들에게 부담 증가
  • 청소년 및 대학생, 서민층 부담 가중: 학생 및 일반 승객들의 교통비 지출 증가
  • 고속버스와 항공 등의 교통수단 경쟁력 변화: KTX 요금이 크게 오를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고속버스와 항공편을 선택하는 이용객이 늘어날 가능성

🔎

KTX 및 일반철도 운임 인상은 오랜 기간 동결된 요금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한 조치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용객 입장에서는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만큼, 정부와 코레일이 적절한 지원 정책과 대안을 함께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반응형